본문 바로가기
마음공부/독서마음공부

2.Having 실천시 주의점

by 치유투자가 2021. 2. 23.
반응형

하지만! 해빙을 실천함에 있어 우리가 주의할 점이 두 가지 있는데요

 

첫 번째, 해빙과 낭비를 구분해야 한다는 거죠 

 

이서윤 님은 낭비는 진정한 해빙이 아님을 해빙 신호등으로 우리에게 명확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낭비는 해빙이 아니에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꼭, 필요한 것 이 아니라면, 후회를 하게 되며,

충동구매로 자신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것은 낭비라는 거죠!!

 

우리가 초록불에 길을 건너고, 빨간불에 멈추듯 해빙의 신호등도 비슷한 원리예요.

물건을 살 때 불편함과 긴장감, 불안과 걱정은 해빙의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진 거죠, 그건 멈추라는 거예요.

내면의 목소리와 다르게 행동하니까 몸과 마음이 편치 않은 거지요.

남들이 나를 어떻게 볼지 타인의 시선에 휘둘려 산 것들은 나를 기쁘게 하기 위해 산 것들이 아니기 때문에 기분이 좋아지기는커녕 우울해진다는 거죠. 그렇다면 초록불은 자연스러움과 편안함이에요. 

편안함은 내 영혼이 원하는 것과 행동이 일치될 때 느껴지는 감정이지요.

초록불을 느끼면 그대로 돈을 쓰고 빨간불을 발견하면 당장 행동을 멈추는 것이죠 해빙 신호등은

내면의 목소리를 나에게 알려주는 거예요. 그 답은 자신이 알고 있거든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따라가다 보면 낭비나 과시적 소비와는 자연스럽게 멀어지게 되죠.

두 번째, 간절히 원하는 것이에요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자가 되는 것에 강하게 집착하죠

출근할 때나, 회의할 때 그리고 잠자리에 누울 때까지 머릿속은 온통 그 생각뿐이죠..

부자가 되는 것을 간절히 원할 때 마음이 편안하던가요?

문제는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커질수록 불안과 걱정, 두려움도 자라났다는 사실이죠

서윤은 홍기자의 테이블 위에 놓인 휴대전화를 집어 들면서 홍 기자님, 이 핸드폰 간절히 원하세요?

~ 아니요,

이미 제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그저 편안하기만 해요.라고 말하는 것처럼 

Having의 핵심은 편안함이에요.

부자여서 마음이 편안한 것이 아니라 돈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안한 마음이 우리를 부자로 이끄는 거죠

책에서 말하기는

해빙은 파도를 타듯 자연스럽게 부의 흐름을 타게 되는 거예요. 

노를 저을 필요 없이 그저 보트에 탄 채 물결 위에있기만 하면 되는 편안함,

반면, 간절히 원하는 것은 울퉁불퉁한 돌바닥 위에서 무건운 상자를 힘껏 미는 것과 비슷해요.

그 불편함이 돈을 밀어내고 무의식에 없음을 끊임없이 입력할 거예요.

결국 해빙이 추구하는 편안함과 반대 방향으로 가는 거죠.

 

댓글